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미분양관리지역이란

by 호두핑 2024. 4. 22.

뉴스를 보던 중 경기도 안성시가 미분양관리지역에 포함이 되었다는 기사를 읽었습니다. 미분양관리지역에 포함이 되려면 어떠한 조건이 있는지 어찌하면 미분양관리지역에서 해제가 되는지 궁금해서 한번 알아보았습니다. 

 

 

미분양관리지역

미분양관리지역은 2024년 04월 현재 기준으로 9개의 지역이 있고 미분양관리지역이 어디인지, 미분양관리지역으로 선정되는 기준이 어떠한지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미분양관리지역이란

미분양세대수가 1,000세대 이상이면서 공동주택재고수대비 미분양세대수가 2% 이상인 시, 군, 구 중 미분양 증가, 미분양 해소 저조, 미분양 우려 중 1개 이상 충족지역을 말하며

이중 공동주택재고수란 통계청이 주택총조사를 통해 발표하는 시,군,구별 주택수에서 단독 주택 및 비거주용 건물 내 주택을 제외한 세대수를 말합니다. 

다만, 지역여건, 주택경기, 정부정책 등을 고려하여 일부 조정이 가능합니다. 

 


 

미분양관리지역 현황

현재 미분양관리지역은 수도권에 경기도 안성시, 지방으로 대구 남구, 울산 울주군, 강원 강릉시, 충북 음성군, 전북 군산시, 전남 광명시, 경북 포항시, 경주시 이렇게 총 9개의 지역입니다. 


 

미분양관리지역 선정기준

미분양 세대수가 1,000세대 이상이면서 공동주택재고수 대비 미분양 세대수가 2% 이상인 시, 군, 구 중에서 아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지역

1. 미분양 증가

최근 3개월간 전월보다 미분양 세대수가 50% 이상 증가한 달이 있는 지역

2. 미분양 해소 저조

당월 미분양 세대수가 1년간 월평균 미분양 세대수의 2배 이상인 지역

최근 3개월간 미분양 세대수가 1,000세대 이상이며 최근 3개월간 전월보다 미분양 세대수 김소율이 10% 미만인 달이 있는 지역

3. 미분양 우려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시, 도 중에서 최근 3개월간 전월보다 미분양 세대수가 30% 이상 증가한 달이 있거나, 당월 미분양 세대수가 1년간 월평균 미분양 세대수의 1.5배인 지역

  • 최근 3개월간 전월보다 인허가실적이 50% 이상 증가한 달이 있는 지역
  • 당월 인허가실적이 1년간 월평균 인허가실적의 2배 이상인 지역
  • 당월 청약경쟁률이 최근 3개월간 평균 청약경쟁률보다 10% 이상 증가하고 당월 초기분양률이 최근 3개월간 평균 초기분양률보다 10% 이상 감소한 지역

직전 1년간 분양 승인실적이 해당 지역 공동주택재고수의 5% 이상인 지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