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교통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대중교통비의 20 ~ 53% 를 되돌려주는 K-패스를 2024년 05월부터 시행을 한다고 합니다.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하면 다음달에 돌려준다고 하니 대중교통을 많이 이용하는 서민들일수록 더 많은 혜택을 받을 수 있을 것 같은데 내용을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K-패스
대중교통비 환급 지원 사업으로 기존의 알뜰 교통카드의 진화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인구 10만 명 미만의 일부 지자체를 제외하고 전국적으로 시행이 되며 일부 지자체에서는 K-패스에서 더욱 강화형으로 대중교통비 지원을 해주고 있습니다.
알뜰교통카드와의 차이점
기존 알뜰교통카드는 출발과 도착지를 기록해야하고, 도보와 자전거 등을 이용한 이동거리에 비례하여 마일리지로 환급을 해주는 방식이었다면 이번에 나오는 K-패스는 이동거리에 관계가 없어 출발과 도착의 기록이 불필요 하고 대중교통비의 지출 금액을 계층별로 일정비율 환급을 해주는 방식입니다. 계층은 일반, 청년, 저소득으로 나뉘며 일반은 20%, 청년 (19 ~ 34세)은 30%, 저소득(기초생활보장법에 따른 수급자 및 차상위계층)은 53% 를 다음달에 이용자에게 직접 환급을 해줍니다.
사용방법
1. 기존 알뜰교통카드 사용자
알뜰교통카드 어플에서 이용약관 및 회원전환 등에 동의를 하시고 별도의 카드를 재발급없이 기존에 발급받은 교통카드를 그대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2. 신규이용자
24년 05월에 오픈되는 K-패스 홈페이지나 모바일 어플, 신용카드사의 홈페이지에서 원하는 교통카드 상품을 골라 사용이 가능합니다.
적용기준과 수단, 범위
1.적립기준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해야 하며 최대 월 60회까지 지원이 가능합니다.
2.적용수단과 범위
시내버스, 지하철, 광역버스, 민자철도(신분당선 등) 등 교통카드 기반의 대중교통수단에 전부 사용이 가능하며 특정 지자체가 아닌 전국적으로 호환이 가능합니다. (서울이용자가 서울이 아닌 곳에서도 사용이 가능) 하지만 일부 인구 10만 명 미만의 지자체에서는 지원이 안됩니다.
3. 사용이 안되는 지역
전북: 김제, 고창, 부안, 진안, 무주, 임실, 장수, 순창
전남: 고흥, 화순, 영암, 영광, 곡성, 구례, 장흥, 보성, 강진, 함평, 완도, 진도
경북: 문경, 예천, 의성, 청송, 영양, 영덕, 청도, 성주, 고령, 봉화, 울진, 울릉
강원: 속초, 평창, 정선, 철원. 화천, 양구, 인제, 고성
추가 강화지역
1.경기도 (THE 경기패스)
K-패스의 혜택에서 6 ~ 18세 어린이와 청소년을 확대하였고, 청년의 나이를 39세까지 확대를 하였습니다.
2. 인천(인천I패스)
기존의 K-패스의 혜택에 경기패스의 혜택을 얹고, 65세 이상의 환급률을 30% 확대를 하였습니다.
위의 두개의 지자체는 추가로 월 이용횟수 상한이 없습니다.
마무리
서민들이 가장 많이 이용을 하는 대중교통의 부담을 덜어주는 이러한 혜택이 너무나도 좋은 것 같습니다. 앞으로도 이런 실용성있는 지원제도가 많이 만들어지고 서민들이 이용을 하는데 어려움 없이 사용을 잘 할 수 있도록 제도적으로 잘 되었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