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인감증명서 이제 떼러 안가도 된다.

by 호두핑 2024. 5. 2.

오는 9월 30일부터, 법원이나 금융기관에 제출하는 용도가 아닌 일반용 인감증명서는 온라인 플랫폼인 '정부 24’를 통해 무료로 발급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사실상 평소에는 인감증명서를 발급받을 일이 잘 없어 직접 발급받으러 다녀오셔야 하는지 잘 모르시는 분도 많을 것 같습니다. 이제는 인터넷으로 발급이 가능하다고 하니 더 편해지겠어요.

 


인감증명서 인터넷 발급

인감증명서는 개인의 도장(인감)이 신고된 것임을 증명하는 공적 문서입니다.

본인이 주소지 주민센터에 사전에 신고한 인감을 기반으로, 공적·사적 거래에서 본인의 의사를 확인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활용되어 왔습니다.

특히 부동산 거래, 자동차 매매, 법적 문서 제출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지난해 한 해 동안 발급된 인감증명서는 약 2984만 통에 달합니다.

 


현행과의 차이점

현재는 부동산 매도용, 자동차 매도용, 일반용 등의 발급용도에 상관없이 모든 인감증명서를 직접 발급을 받으러 주민센터에 방문을 해야 했으나 2024년 09월 30일부터는 일반용 인감증명서 중에서 법원, 금융기관 제출용을 제외한 인감증명서는 정부24에서 발급이 가능합니다.

기존에는 본인 이외에 대리인도 발급이 가능했으나 인터넷 발급시에는 본인만이 발급신청이 가능합니다.

수수료 또한 기존에 1통당 600원을 지불해야 하지만 인터넷 발급시에는 무료입니다.

 


 

온라인 발급절차

정부24를 통한 인감증명서 발급은 본인만이 신청할 수 있으며, 전자서명과 휴대전화 인증 등의 복합인증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발급용도와 제출처를 명확히 작성한 후, 발급이 완료되면 인감증명서 발급 사실이 휴대전화 문자 등을 통해 본인에게 통보됩니다. 또한, 온라인 발급된 인감증명서의 진위 여부는 정부 24 홈페이지나 앱에서 문서확인번호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마무리

부동산이나 자동차의 매도용이 아닌 일반용 인감증명서만 인터넷 발급이 가능하다고 해서 처음 든 생각이 그거 두개 말고는 인감증명서를 발급할 일이 있나? 싶었는데 의외로 면허 신청, 경력 증명, 보조사업 신청 등 많은 용도로 인감증명서를 발급받는다고 합니다. 그동안 600원이라는 수수료도 은근히 아까웠으나 어쩔 수 없이 지불을 해야 했는데 절약이 가능하고, 주민센터를 오가는 수고를 덜어 낼 수 있으니 참 좋은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