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전동기의 가속도제어

by 호두핑 2024. 2. 10.

농형전동기는 속도나 가속도제어를 자체적으로 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2단계, 3단계, 또는 4단계의 속도변동에 응할 수 있도록 농형전동기를 특수한 형태로 설계합니다. 이것은 농형전동기를 여러가지 속도로 계속 가변시키는 것이 아니라 원하는 속도로 사용될 수 있도록 몇 가지 속도를 정해놓는 것입니다. 속도조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실제적으로 2차 권선에 권선형회전자나 속도조정이 가능한 AC정류자 전동기가 가장 적합합니다. 속도의 수동조정은 부하나 속도에 의해 결정되는 적당한 접점을 조작시킨 다중속도 농형전동기를 조정시킵니다.

2차 저항기나 드럼제어기가 설치된 권선형 회전자는 원하는 속도로 필요한 만큼만 조정하면 됩니다. 가속도 자동제어는 몇 가지 방법이 있는데 가장 간단한 것이 정시간제어 입니다. 이 방법은 시간지연계전기가 각 단계나 각 속도에서 사용됩니다.

전동기가 기동하는 순간에는, 가장 낮은 속도로 첫번째 시간지연 계전기가 작동하게 되고, 시간지연이 된 후에 두번째 계전기에 에너지가 전달되어 두번째 단으로 속도가 증가됩니다. 이 과정으로 속도가 주어지면서 원하는 가속도로 증가시킵니다. 

이러한 방법의 가장 큰 단점은 기계의 상태, 부하 또는 전동기 전류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부하가 정해진 속도에 도달할 때까지 기계나 장치는 전토크에 미치지 못하는 제어로 전류제어가 전동기의 가속도를 제어하는데 사용됩니다. 이들 상태의 각 단에서는 전류계전기에 의해 전류가 언전한 값에 도달할 때까지 회로를 폐로시키지 않습니다. 물론 전류는 전동기와 부하가 거의 일정한 속도에 도달할 때까지 강하하지 않는 것은 아닙니다. 이러한 방식은 큰 관성부하로 구동되는 벨트나 기어를 이용하는 것이 적합합니다.

이 제어방법은 특수한 방법으로 설계되어야 하고, 계전기는 이 특수용도의 기기나 이 장비에 따라 정해져야 하는데, 이는 이들 기기가 표준제어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또 다른 가속제어 방법으로는 슬립주파수 제어가 있습니다. 이 방법은 권선형전동기에서 사용하며 동기전동기의 계자를 자화시켜 사용합니다. 이는 권선형 유도전동기의 2차 전압과 주파수가 속도에 반비례하기 때문에 주파수 김지계전기는 각 증가하는 단위나 속도를 에너지화 하는데 사용합니다. 슬립주파수 제어의 한 가지 단점은 기동시에 속도가 낮다는 것입니다.

가속도제어를 선택할 때에는 몇 가지 특성을 고려해야 하는데 수동제어는 조작자의 감각에만 의한 것입니다. 장시간제어는 시간의 경과에만 의한 것이고, 전류 제한 제어는 전동기 부하에 대해서 고려된 것이며, 슬립주파수 제어는 전동기의 속도만 고려된 것입니다.

위에서 열거된 사항 중에 2개 또는 그 이상의 제어를 같이 제어하는 것은 한 가지 제어방법보다 더 용이한 때가 있습니다. 그러한 제어기는 각 장치의 특성에 부합되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