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전동기의 기동-농형,권선형,동기전동기의 기동

by 호두핑 2024. 2. 10.

1. 농형전동기의 다단기동

단속도 농형전동기는 전자개폐기를 선로에 직접 연결하여 작동시킵니다. 그러나 다단속도 농형전동기는 특수한 형태의 권선이 필요하게 되는데, 2단 속도 전동기의 경우는 2개의 타여자 기동권선을 설치하거나 1개의 고정자권선으로 된 후진극형이어야 합니다. 2단 속도는 고정자의 극을 변화시켜 재구성시킨 후진극에 의해 얻어집니다. 이때는 2:1 정도로 속도를 바꿀 때의 경우입니다. 3단 속도전동기는 한 개의 권선으로 한 속도를 내게 하고 두 번째 권선을 조합시켜서 나머지 2가지의 속도를 냅니다.

4단 속도 전동기는 2개의 권선을 조합하여야 하는데, 2개의 속도를 각각 내는 권선을 다시 조합시켜서 속도를 내게 하는 것입니다. 접점의 수는 그 회로가 폐로로 되기 위한 과부하장치의 수와 형태에 따라 또 여러 속도를 얻을 수 있는 방법에 따라 필요합니다.

 

2. 권선형전동기의 기동

권선형 전동기는 회전자에 단락환 대신에 특정한 권선을 사용하는 것 외에는 농형 전동기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회전자 권선의 드럼제어기가 접점에 직렬로 저항을 삽입하면 속도는 각 조정단수에 의해 제어될 수 있습니다.

권선형 회전자 전동기의 기동방법 중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2차 측 제어기에 연동되도록 1차 측에 수동이나 자기 전압기동기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2차 측 제어기는 2차 제어에 수동드럼 제어기, 전동기기동 제어기, 액화저항 또는 전자접점 등을 사용합니다. 이들 2차 제어기는 기동 순간만 2~3단 정도로 사용되는 것으로 단계별로 속도가 제어됩니다.

1차와 2차의 제어기의 연동은 전동기와 기계가 임의의 속도에서 기동되도록 설계된 경우가 아니면 2차 회로에서 저항 없이 기동 하는 데는 장애가 됩니다.

 

3. 동기전동기의 기동

동기전동기는 계자권선에 연결된 저항기로 이 권선에서 발생되는 전력을 방사시키는 농형전동기로 기동합니다.

보통 고정자제어기는 동기속도의 약 95%에서 회전자에 DC전압이 인가되도록 슬립주파수 계전기나 계자용계전기를 부착시킨 저전압기동기입니다.

이 슬립주파수 계전기는 전동기가 정속도에 이르면 계자의 여자와는 분리되며, 계자저항기에 접속하게 되는데 여자가 제거되지 않으면 고정자권선은 이 여자전류에 의해 손상을 입습니다.

동기전동기는 기동순서가 정해지지 않게 되면 기동권선을 보호하는 불완전한 순차계전기를 설치해야 합니다. 반면 동기전동기의 기동기가 너무 단순하면, 동기전동기가 아주 자연스럽게 기동 하게 되어, 모든 동기 전동기를 그냥 작동시킬 수가 있습니다. 

동기전동기의 임의의 형태에 대한 응용법은 각 전동기제품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으며 기동시 속도단계나 장비에 필요한 사항들에 따라 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