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이가 크면서 제가 출근을 했을 때 아내 혼자 아이를 돌보기가 힘에 부쳐하는 모습을 보니 마음이 아파 어린이집과 종일제 돌봄서비스를 비교하여 살펴보는 중 가구당 기준중위소득에 따라 지원되는 금액이 달라서 얼마가 되는지 확인도 해볼겸 기준중위소득이 무엇인지, 나의 기준중위소득은 어떻게 되는지 확인하는 법을 알아보고 확인을 해보겠습니다.
1. 기준중위소득의 정의
기준 중위소득이란 전 국민을 소득순으로 세웠을 때 정중앙에 위치한 사람의 소득을 중위소득이라 하는데, 정부는 이 중위소득에 여러 경제지표를 반영해 기준 중위소득을 산출한다. 라고 되어있습니다. 기준 중위소득은 기초생활보장제도는 물론 11개 부처 71개 복지사업의 수급자 선정을 위해 중위소득을 바탕으로 보정한 국민소득 중위값을 의미합니다.
보건복지부 장관은 매년 8월 1일까지 다음 연도의 급여별 선정기준 및 최저보장수준을 공표하여야 하므로 기준 중위소득도 매년 8월 1일까지 공표합니다.
2. 2024년 기준중위소득 및 급여별 선정기준
2024년 기준 중위소득
2024년도 기준 중위소득운 4인가구 기준으로 6.09% 인상하여 540만 964원에서 572만 9,913원으로 증가했습니다. 1인가구 기준으로 7.25% 207만 7,892원에서 222만 8,445원으로 증가했습니다.
2024년 가구원 수에 따른 기준 중위소득
1인가구 222만 8,445원 2인가구 368만 2,609원 3인가구 471만 4,657원 4인가구 572만 9,913원 5인가구 669만 5,735원 6인가구 761만 8,369원
2024년 급여별 선정기준
생계급여 중위소득 30%->32% 이하 가구
주거급여 중위소득 47%->48% 이하 가구
의료급여 중위소득 40% 이하 가구
교육급여 중위소득 50% 이하 가구
3. 나의 기준 중위소득 확인하는 법
나의 기준 중위소득을 확인을 해야 어느 구간에서 어떠한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국민건강보험 홈페이지에서 보험료조회를 누르고 로그인을 합니다. 거기서 직장이나 지역보험료 조회를 누르시면 자신이 납부하는 건강보험료가 조회 됩니다.
건강보험료를 조회 하신 후 다음 사이트에서 건강보험료 판정기준표를 검색하시고 자신의 보험료 납부 금액을 확인하시면 기준 중위소득이 몇 % 인지 확인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