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JPEG, PNG, WEBP 과연 무슨 차이일까?

by 호두핑 2024. 5. 28.

 

JPEG, PNG, WEBP 는 웹에서 흔히 사용되는 이미지 파일의 형식으로 각각의 형식이 가지는 특징과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미지 파일 형식 변환하러 가기

 

 

목차

JPEG  (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 압축방식 : 손실 압축
  • 파일크기 : 비교적 작습니다.
  • 화질 : 높은 압축률에서 화질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 투명도 지원: 지원하지 않습니다.
  • 사용 용도 : 사진, 복잡한 이미지, 색상 변화가 많은 이미지에 적합합니다.
  • 기타 특징 : 압축률을 조절할 수 있어 파일 크기와 화질을 조정 가능합니다.

PNG (Portable Network Graphics)

  • 압축 방식 : 무손실 압축
  • 파일 크기 : JPEG보다 큽니다.
  • 화질 : 원본 화질을 유지합니다.
  • 투명도 지원 : 알파 채널을 통한 투명도를 지원합니다.
  • 사용 용도 : 로고, 아이콘, 투명도가 필요한 이미지나 그래픽 디자인에 사용됩니다.
  • 기타 특징 : 여러 단계의 투명도를 지원하며, 웹 그래픽과 같은 고해상도 이미지에 적합합니다.

WEBP (WebP, Weppy)

압축 방식 : 손실 및 무손실 압축 모두 지원합니다.

파일 크기 : JPEG보다 작고, PNG와 비슷하거나 더 작습니다.

화질 : 높은 압축률에서도 상대적으로 좋은 화질을 유지합니다.

투명도 지원 : 무손실 압축 시 투명도 지원

사용 용도 : 웹 최적화 이미지, 높은 품질과 작은 파일 크기를 동시에 필요로 하는 경우에 사용합니다.

기타 특징 : 구글이 개발한 포맷으로 웹에서의 빠른 로딩과 효율적인 이미지 관리를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비교 요약

압축 방식 : JPEG(손실)<->PNG(무손실)<->WEBP(손실 및 무손실)

파일 크기 : JPEG(작음)<->PNG(큼)<->WEBP(작거나 중간)

화질 : JPEG(압축률에 따라 화질 저하)<->PBG(무손실)<->WEBP(높은 화질 유지)

투명도 : JPEG(미지원)<->PNG(지원)<->WEBP(지원)

사용 용도 : JPEG(사진)<->PNG(그래픽, 투명이미지)<-> WEBP(웹 최적화 이미지)

 

마치며

위와 같은 차이점을 바탕으로 이미지를 사용하는 목적과 요구사항에 따라 적절한 포맷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웹 페이지의 로딩 속도를 중시한다면 WEBP를, 고품질의 투명 로고가 필요하다면 PNG를, 사진을 저장할 때는 JPEG를 선택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별 생각없이 그림판에서 이미지 수정을 하고 항상 JPEG를 선호해왔었는데 이제는 용도에 맞게 포맷을 해봐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