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동기전동기2

동기전동기의 기동기 동기전동기는 농형전동기의 제어방법과 거의 같은데 즉 기동 하는 동안 고정자는 선로의 전전압이나 강압된 전압에 의한 교번자계에 의해 에너지가 유기되는데 이때에는 계자방전 저항을 통해 DC계자권선이 쇼트아웃이 되는 기동시간이 필요하게 됩니다. 이 저항기는 높은 전압이 걸리는 것으로부터 계자를 보호하고 또 2차 저항에 의하여 기동토크를 증가시키는 작용을 합니다. 전동기가 동기속도에 도달할 때에는 동기속도의 93~98% 정도가 되는데 이때에는 동기저항의 접속은 끊어지게 되고 직류전압이 전동기의 계자권선에 인가됩니다. 이 계자에 의한 여자는 전동기의 속도를 증가시켜 동기화합니다. 가끔 사용되는 계자용계전기 혹은 슬립주파수 계전기는 동기전동기의 기동시에 중요한 요소가 되기도 합니다. 이때에는 적절한 시간 동안에 계.. 2024. 2. 12.
전동기의 기동-농형,권선형,동기전동기의 기동 1. 농형전동기의 다단기동 단속도 농형전동기는 전자개폐기를 선로에 직접 연결하여 작동시킵니다. 그러나 다단속도 농형전동기는 특수한 형태의 권선이 필요하게 되는데, 2단 속도 전동기의 경우는 2개의 타여자 기동권선을 설치하거나 1개의 고정자권선으로 된 후진극형이어야 합니다. 2단 속도는 고정자의 극을 변화시켜 재구성시킨 후진극에 의해 얻어집니다. 이때는 2:1 정도로 속도를 바꿀 때의 경우입니다. 3단 속도전동기는 한 개의 권선으로 한 속도를 내게 하고 두 번째 권선을 조합시켜서 나머지 2가지의 속도를 냅니다. 4단 속도 전동기는 2개의 권선을 조합하여야 하는데, 2개의 속도를 각각 내는 권선을 다시 조합시켜서 속도를 내게 하는 것입니다. 접점의 수는 그 회로가 폐로로 되기 위한 과부하장치의 수와 형태에 .. 2024. 2.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