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757

자동기동기와 전전압기동기 자동기동기 자동기동기는 보호장치가 부착된 접점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ㅇ로 자기기동기라고 부릅니다. 이 전자력의 작용에 의한 기동기는 보조접점과 선로접점을 작동시키고 유지시키는 것으로 여러 제어회로에 이용됩니다. 이 자기기동기는 임의로 정해진 유지시간 동안은 보조접점으로 유지됩니다. 이 기동기에는 기계적인 형태에 따라 여러 가지가 있는데 자기코일철심의 작동상태에 따라 2가지 형으로 분리하면 하나는 자기철심이나 철심의 한 부분에 연결된 경첩에 가동접점이 부착되는 클래퍼형입니다. 경첩은 수평방향 가까이에 접점과 극편의 자기회로에 접속되어 당기도록 배열되어 있고 고정접점은 수직판에 부착되어 있습니다. 다른 하나는 솔레노이드형으로 이 형은 접점이 철심의 가동부분에 부착되어 가동접점이 고정접점과 접촉되는 것으로 이들.. 2024. 2. 12.
수동기동기 기동기 가장 간단한 전동기기동기는 선로에 전동기의 단자를 연결시키거나 제거시키는 것으로 전동기에 과부하보호장치를 부가시키고 필요한 경우에 제어장치와 보호장치를 연결시키는 것입니다. 전동기의 기동기는 여러 형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이는 전동기를 기동하는 방법에 의해서 분류합니다. 이들의 분류방법에는 수동 또는 자동, 전전압 또는 저전압, 단상 또는 3상 그리고 AC또는 DC에 따라 분류됩니다. 전동기의 기동방법은 이들의 항목과 분류방법에 따라야 하는데 예로 어떤 전동기는 자동, 저전압, 3상, AC기동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그러나 전동기는 규격이나 정격전압이 정해져야 하기 때문에 완전한 규격이라고는 할 수 없습니다. 그리고 원격제어 방식인가 외함과 다른 부위에 푸시버튼이 있는가 하는 것도 알아야 합니다. .. 2024. 2. 12.
과부하계전기 과부하계전기는 여러 전동기의 기동기로 사용되는데 이는 과부하 보호장치의 접점에 임의의 보호장치를 설치하여 전동기기동기로 변환시킨 것입니다. 이 계전기는 전동기회로에서 과부하보호의 위상차이에 대한 보호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과부하보호에 대한 기본사항은 전동기가 정격최대부하에서는 작동하도록 하고 임의의 지연상태나 과중한 부하상태에서는 작동되지 않도록 하는 것입니다. 전동기가 기계적으로 과부하상태가 되어 전류가 증가하면 전동기와 그 권선이 온도가 상승하게 되는데 이때 전류와 온도의 증가는 다상전동기에서 1상이 차단되었거나 전동기권선의 부분적인 결함 때문에 생깁니다. 그러므로 전동기를 과부하에서 보호하기 위해서는 전동기의 작동상태, 지시값, 전류 등을 검사하여 전류가 정격값을 넘었을 경우에 회로를 차단해야 합.. 2024. 2. 12.
전류용계전기, 시간지연계전기 전류용계전기 회로를 개폐시키는 데에 사용되기도 하고, 회로를 변화시켜 한 회로로 다른 회로의 전류를 변화시키는 전동기에도 사용되기도 합니다. 전류용계전기는 회로에 직렬로 연결되어 전류를 감지할 수 있게 설계되어 있고 이 접점은 계전기 코일이 충분한 자속을 발생시킬 수 있는 전류가 흐를 때 작동합니다. 전류용계전기를 이해하는 데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사항이 필요합니다. 1. 동기인입전류 : 계전기가 작동하는 데에 필요한 전류입니다. 2. 복귀전류 : 계전기가 작동한 뒤에 전류가 작동값 이하로 복귀되는 전류입니다. 3. 차동전류 : 동기인입 전류와 복귀 전류와의 차이입니다. 예로 계전기가 5A에서 작동하고 3A에서 복귀한다면 동기인입전류는 5A이고 복귀전류는 3A, 차동전류는 2A입니다. 전류용 계전기는 .. 2024. 2. 11.
전압용계전기, 주파수계전기 자동제어 회로는 계전기로 다양한 제어회로를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보통 한 개 이상의 계전기가 설치되어 있으며 계전기는 전기기계 증폭기형태로 설치되었습니다. 여기서 우선 확대, 증가, 팽창 또는 확장이라는 의미를 가진 증폭에 대해서 설명하겠습니다. 24V용 계전기에서 그 계전기 접점으로 100V, 220V의 회로를 제어하는 경우 이는 계전기를 사용하여 전압을 증폭시킨다고 할 수 있습니다. 또 계전기는 저전류를 사용하여 대전류를 제어하는 경우에는 전류를 증폭시킨다고 합니다. 계전기의 작동은 전류나 전압 중 한가지만으로 작동됩니다. 다중접점을 가진 계전기는 여러 개의 입력에 의해 작용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예로 100V 1A에 작동되는 계전기가 있다고 할 때, 이 계전기의 각 접점이 220V, 15A 의 회.. 2024. 2. 11.
전동기 제어요소 기기에 필요한 제어의 기능이 결정되면, 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요소와 장비를 선택해야 하는데 이 선택법은 신중히 하여야 합니다. 예로 플로트스위치가 사용되는 데 사용 횟수가 극히 드물다면 가격이 저렴한 것을 사용해도 되나, 사용 횟수가 잦은 경우에는 가장 고급인 것을 사용해야 하는데, 이유는 만약 가격이 저렴한, 즉 내구성이 약한 것을 사용한다면 적절한 기능을 수행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제품 생산업체의 카달로그를 참고하고 가능하다면 조작방법까지 익히면 내용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1. 스위치와 차단기 극히 소형인 전동기를 제외한 대부분의 기기에는 전동기를 작동시키고 정지시키는 장치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대체로 전동기에 사용되는 2가지 형태가 있는데 그중 하나가 전압과 전류의 정격만 가진 절연스.. 2024. 2.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