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757 전동기의 감시장치의 정의와 플로트스위치 전동기 제어회로에 사용되는 모든 소자들은 1차 제어장치와 감시제어장치로 분류가 됩니다. 1차 제어장치는 전동기의 기동기와 같이 수동이건 자동이건 간에 선로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감시제어 장치는 1차 제어장치를 제어하거나 변조시킵니다. 감시장치에는 푸시버튼스위치, 플로트스위치, 압력스위치와 온도조절 기능 등이 있습니다. 감시장치의 정의 1차 제어장치의 예로는 기동기의 코일에 에너지를 가하게 하거나 제거하는 토글스위치에 의해 제어되는 자기 전압 기동기가 있습니다. 스위치가 작동되면, 기동기는 에너지를 받게 되어 전동기를 기동시키고 스위치가 개방되면 기동기는 에너지가 없어지게 되어 전동기는 정지하게 됩니다. 기동기는 선로에 부하나 전동기가 접속되면 1차 제어장치와 분리됩니다. 스위치는 선로에 접속되어 기동기 .. 2024. 2. 13. 직권전동기의 기동, 직류분권 복권전동기의 기동기 직권전동기의 기동 직권전동기의 수동용기동기는 접촉암과 탭저항기로 구성되어 있는데 핸들을 조정하여 단계적으로 저항기를 단락시켜 가면서 기동시키는 것입니다. 이들 모든 저항기가 회로에서 제거되면 전동기는 전전압이 인가됩니다. 손잡이는 유지코일에 의해 스프링의 장력에 반하여 RUN 위치로 오게 됩니다. 유지코일은 전동기와 직렬로 연결되어 있고 이 코일은 굵은 전선으로 몇 회만 감아 전전동기에 전류를 흐르게 합니다. 부하가 감소되거나 격감되는 때에는 전류도 감소되고 제어암이 OFF 위치로 올 수 있도록 스프링이 작용하게 되는데 이 위치가 무부하 보호를 하게 되는 것입니다. 유지코일이 전선로에 걸리게 되는 경우에는 알맞은 규격의 전선을 많이 감아 선로의 전류를 유입시킬 수가 있습니다. 공급전압이 격감되거나 차단되.. 2024. 2. 13. 동기전동기의 기동기 동기전동기는 농형전동기의 제어방법과 거의 같은데 즉 기동 하는 동안 고정자는 선로의 전전압이나 강압된 전압에 의한 교번자계에 의해 에너지가 유기되는데 이때에는 계자방전 저항을 통해 DC계자권선이 쇼트아웃이 되는 기동시간이 필요하게 됩니다. 이 저항기는 높은 전압이 걸리는 것으로부터 계자를 보호하고 또 2차 저항에 의하여 기동토크를 증가시키는 작용을 합니다. 전동기가 동기속도에 도달할 때에는 동기속도의 93~98% 정도가 되는데 이때에는 동기저항의 접속은 끊어지게 되고 직류전압이 전동기의 계자권선에 인가됩니다. 이 계자에 의한 여자는 전동기의 속도를 증가시켜 동기화합니다. 가끔 사용되는 계자용계전기 혹은 슬립주파수 계전기는 동기전동기의 기동시에 중요한 요소가 되기도 합니다. 이때에는 적절한 시간 동안에 계.. 2024. 2. 12. 복합기동기, 권선형전동기의 기동기 복합기동기관계법령에서는 전동기의 외함에 스위치나 차단기를 연결할 수 없도옥 규정하고 있는대 이 복합기동기는 기동기 자체의 박스 내부에 스위치나 차단기를 포함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복합기동기는 기계적인 구조면이나 배선작업면에서도 상당히 간결하게 되어 있습니다. 전기적으로도 복합기동기는 운전자나 수리기술자가 박스 문을 열 때에는 스위치나 차단기가 OFF 위치로 작동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데, 이것은 기동기의 문을 열 때에 언제나 회로가 끊어져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것입니다. 이러한 장치에 사용되는 스위치는 퓨즈나 비퓨즈를 쓰는데, 비퓨즈를 쓴느 경우에는 전동기의 회로가 단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다른 퓨즈 스위치나 차단기에 의해 보호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복합기동기에 퓨지가 스위치나 회로차단.. 2024. 2. 12. 속도제어기동기 권선형전동기의 회전자 속도제어 외에도 농형전동기의 속도를 조절하는 방법이 있는데 이들은 다단속도로 조작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2 속도 전동기의 한 형태로 2개의 별도로 된 기동기권선이 있는데 선로접점에 있는 2개의 장치가 동시에 접속될 때에만 작동되는 형으로 이때에는 기계적이거나 전기적이거나 또는 위의 2가지 경우로 연동되어야 합니다. 선전압이 걸리게 되는 각각의 기동기를 규정된 장치로 이용할 수 없을 때에는 전기연동으로 사용됩니다. 역기동기는 특별한 경우에 제작되는 것으로 역상이 제거되도록 설계되어야 합니다. 접점이나 기동기의 2개의 접점장치는 각 장치가 선로에 각각의 속도르 낼 수 있는 권선에 연결되어 있습니다. 다른 기동의 형태로는 수동이나 자동의 형태가 있습니다. 2가지 속도를 가지는 .. 2024. 2. 12. 저전압기동기 저전압기동기는 전동기가 기동 되는 동안 선로전압을 감소시키는 것입니다. 즉 이 방식은 전동기가 가동되는 동안 전류의 유입을 제한하는 것으로 저전압기동을 하는 데는 몇 가지 사항에 따라서 달라집니다. 이들 장치는 전전압기동으로서 자동이나 수동이건 간에 상관없고 수동인 경우에는 염가가 되나 다양하지는 못 합니다. 농형전동기에 사용되는 수동 전전압기동기는 보상기로도 불리는데 쌍투스위치와 1개의 자동변압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동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동기의 위치는 자동변압기를 통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조작용 핸들은 전동기가 최대의 속도에 도달하게 될 때까지 이 위치에서 돌리게 되는데 손잡이를 RUN 위치까지 작동시키면 전전압이 걸리게 됩니다. 스위치의 기능은 래치에 의해 RUN위치에 잇게 되는데 래치는 저전압 .. 2024. 2. 12. 이전 1 ··· 118 119 120 121 122 123 124 ··· 127 다음